작업자 한 명이 크레인 4대까지 원격 조종

부산항 내 5G로 원격제어되는 컨테이너 크레인과 관제실 모습./사진=LG유플러스

[포쓰저널=정환용 기자] LG유플러스는 부산항만공사(BPA)와 함께 스마트항만 구축을 위한 5G 네트워크를 도입해 하역장비, 물류창고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예정이라고 2일 밝혔다.

국내항만 중에 5G 네트워크를 구축해 하역장비 등 항만운영에 적용하는 항만은 아직 없다.

LG유플러스는 5G 기술을 부산에 도입해 항만의 생산성을 높이고 안전한 작업환경을 만들어 나간다.

컨테이너터미널의 물류 흐름에 병목현상이 생기는 곳은 컨테이너를 쌓는 야적장이다. 수출입 컨테이너들이 섞여 있는 야적장은 24시간 운영되는데, 컨테이너를 옮기는 크레인은 수동으로 운영되고 있어 처리 효율이 낮다.

LG유플러스는 원격제어 크레인을 도입하면 인력운영 효율성과 물류 처리량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부는 2030년까지 항만 자동화·디지털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국내 스마트·자동화항만 시장은 2017년 1000억 원 규모에서 2024년 4000억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해외 항만 대비 크레인, 야드트랙터 등 물류 장비 자동화 수준은 높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5G를 통한 항만 경쟁력 확보를 위해 2019년부터 동원부산컨테이너터미널, 서호전기, 고등기술연구원 등과 함께 산업통상자원부 R&D 과제를 통해 신감만부두에서 야드크레인 원격제어를 위한 5G 네트워크를 적용, 검증한 바 있다.

LG유플러스는 크레인과 각종 하역장비의 원격제어와 자동화에 사용할 5G 네트워크와 ‘저지연 영상전송 솔루션’을 준비했다.

지난해 LG유플러스는 벤처기업 ‘쿠오핀’에 지분투자를 통해 저지연 영상전송 솔루션을 확보했다. 이 기술은 고용량 영상을 최대한 압축시켜 지연시간을 최소화해 준다. LTE 대비 영상전송 시간을 84%가량 단축할 수 있다.

5G 크레인 원격제어를 이용하면 작업장에서 떨어진 사무실에서 조종사 1명이 3~4대의 크레인을 제어할 수 있다. 이밖에도 작업자가 없을 때 컨테이너를 미리 배치해놓을 수 있고, 컨테이너를 4단 이상 적재할 수 있게 된다.

LG유플러스 스마트인프라사업담당 서재용 상무는 “LG유플러스의 5G 기술을 부산을 포함한 국내 항만에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협력사들과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며 ”2026년까지 25조 원에 육박할 5G B2B(기업간 거래) 시장에서 LG유플러스만의 경쟁력을 키우고 신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하도록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