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 인수후 점포 판 1.3조 중 투자는 30억 뿐"
"직원수 4400명 줄어...협력사 합치면 8800명 감소"
사측 "페점시 100% 인근 점포 전환 배치, 정규직 고용"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가 8일 서울 광화문 MBK본사 앞에서 끝장투쟁을 선포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사진=마트노조

[포쓰저널=조혜승기가] 홈플러스 노사 관계가 악화 일로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동조합 홈플러스 지부는 대주주 MBK파트너스를 악질 투기자본으로 규정, 홈플러스에서 손을 뗄 때까지 투쟁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홈플러스 노조는 27일 청와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MBK의 퇴진을 촉구할 예정이다.

노조는 8일 서울 종로구 MBK 본사 앞에서 ’끝장투쟁‘ 선포 기자회견을 연데 이어 14일에는 임단협 투쟁 행동지침을 발표했다.

노조는 MBK가 홈플러스 대주주로 있는 한 홈플러스의 미래가 없으며 폐점 매각 도미노는 계속될 것이라며 MBK가 홈플러스에서 손을 떼게 만들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홈플러스의 노사 갈등은 MBK가 2015년 7조2000억원을 들여 홈플러스를 영국 테스코에서 인수할 때부터 시작됐다.

노조에 따르면 홈플러스의 현재 직원 수는 약 2만2000명으로 MBK가 홈플러스를 사들인 2015년보다 약 4400명 줄었다. 외주업체와 협력사 직원까지 합치면 같은 기간 약 8800명이 감소했다.

노조는 홈플러스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줄곧 감소하는 등 MBK가 이커머스 시장의 재편과 온라인 전쟁에서 홈플러스에 대한 경영 의지가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홈플러스의 영업이익은 2019년 2월 기준 2599억7178만원에서 2020년 2월 1601억5755만원으로 40% 가까이 급감했다.

노조는 특히 MBK가 지난해 경기 안산점, 대전 둔산점, 대전 탄방점, 대구점 등 전국 매장 4곳을 매각한 데 이어 부산 매출 1위 가야점 매각을 추진하자 그 배경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사모투자펀드 MBK가 기업 인수 후 그동안 해왔던 것처럼, 평균 5년 지나면 기업을 되팔아 자금을 투자자에게 돌려주기 위해 인력을 줄이고 부동산을 팔고 있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노조는 가야점의 경우 MBK가 비싼 부동산 가치를 보고 홈플러스를 인수한 후 부지를 처분해 투자금을 회수하려는 의도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노조 관계자는 “유통 대전이 벌어지고 있는데 홈플러스는 부동산 투기로 투자금을 회수하고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궁리만 하고 있다”며 “매출 1위가 나오는 매장이라도 비싼 땅값을 사겠다는 사람이 있으면 팔아 치우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노조 측은 MBK가 12일 “자산유동화를 통해 확보한 사업자금을 활용해 투자에 본격 나선다”고 발표한 데 대해서도 매장을 팔아 벌어들인 1조3000억원에 비해 직원이나 회사에 투자 금액이 지나치게 적다며 ’생색내기용‘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홈플러스는 지난해 4개 점포를 팔아 확보한 현금을 투자해 현재 20개인 ‘홈플러스 스페셜’ 매장을 전체 매장으로 확대한다고 최근 밝혔다.

7월 10개 점포를 홈플러스 스페셜로 전환하고 연말까지 매월 1~3개 점포를 순차적으로 전환한다는 것이다.

홈플러스 스페셜 매장은 대형마트 장점과 창고형 할인점을 합친 매장이다.

하지만 노조는 스페셜 매장 한곳 전환에 약 2억~3억원, 10개 매장일 경우 들어가는 비용이 약 30억원에 불과하다며 대대적인 투자가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또 올해 3년만의 두 자릿수 신입 공채 계획 발표에 대해서도 “최대 99명을 채용한다 해도 전체 직원이 2만2000명인 걸 감안하면 전국 매장 140개 매장당 1명씩도 배치기 안되는 꼴이다”고 했다.

노조 관계자는 “채용 인턴제로 뽑은 99명 중 몇 명이 남겠나. 초봉 3000만원을 잡아도 약 30억원 불과한데 무엇이 대대적인 투자인지 이해가 안 간다”고 했다.

노조는 직원들의 근무 조건부터 개선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2년째 임금 교섭을 하지 않는 등 노동조합과의 갈등부터 정리하는 것이 우선순위라는 것이 노조 측 주장이다.

홈플러스 측은 "대전 탄방점 폐점 후 직원 70여명을 100% 고용했으며 2018년 부천 중동점, 김해점 폐점 후 100% 인근 점포로 전환배치하는 등 고용안정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현재까지 길거리에 나 앉은 직원이 전혀 없으며 전환배치된 이들 모두 정규직으로 고용했다"고 했다.

영업종료를 앞둔 점포에 근무중인 직원들에 대해 100% 고용보장은 물론 본인의 희망점포를 5지망까지 받아 직원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고 있다고도 했다.

홈플러스 측은 폐점을 염두에 두고 매각을 진행했던 대전 둔산점의 경우 노조가 부동산개발업자와 거래 행위를 하며 대전시가 추진하는 ‘대전시 도시계획조례 개정안’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다.

노조가 조례 개정안을 추진 않는 조건으로 지난해 12월 말 부동산 개발업체 미래인과 대전 둔산점 부지와 관련해 1억 5000만원 가량 대가성 자금을 받고 협약을 맺었다는 것이다.

이 개정안은 오피스텔을 준주택으로 분류해 공적 기여 관계없이 최대 800% 용적률을 적용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기존 용적률은 공적 기여가 있으면 최대 1300%까지 적용됐으나 새 용적률이 적용되면 한층 규제가 강화된다.

이 개정안은 현재 대전시에서 보류된 상태다.

노조 측은 MBK가 둔산점을 미래인에 폐점·매각할 당시 직원 고용 등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았으며 노조가 싸워 시공사 미래인으로부터 직원 고용 보장과 생계비 지원 등과 함께 1억5000만원 상당의 위로금을 지급받았다고 반박했다.

회사가 직원들에게 위로금이나 생계비 등 한푼도 지급하지 않아 노조가 투쟁해서 위로금을 얻어낸 것을 악의적으로 흠집내고 있다는 것이 노조 측 주장이다.

노조 측은 “1억5000만원은 미래인과 6개월간 노조가 파업·투쟁해 별도로 받은 것이다. 미래인이 둔산점을 허문 후 45층 주상복합 건물을 짓는데 지하 1층에 대형마트를 만들어 고용을 한다고 제안했다”며 “노조원과 비노조원이 합의를 해 둔산점에서 다른 먼 지점으로 발령나 퇴직한 직원들에 한해 한달 100만원씩 최대 45개월간 생계지원비를 지급한다는 합의를 맺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회사 측은 가야점에 대해선 코로나19로 경영 사정이 악화됨에 따라 부동산 등 담보로 채권을 발행해 현금을 조달하는 자산유동화 차원에서 진행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회사 관계자는 “자산유동화는 값어치 있는 것을 내 놓아야 제값 받고 재투자할 수 있다”며 “부실점포를 팔고 있는 타 회사와 달리, 회사는 수익성이 있는 점포를 내 놓아야 자산유동화로 현금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홈플러스 측은 투자 금액을 구체적으로 발표한 적이 없기 때문에 노조의 투자 액수가 적다는 주장도 납득할 수 없다고 했다.

구체적인 투자 액수는 4개 점포 매수 희망 측과의 비밀유지조항 때문에 공개할 수 없다고 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노조가 어떠한 이유로 특정 금액을 언급하면서 투자금액이 적다 많다를 운운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면서 “기본적으로 확보된 자금을 모두 홈플러스스페셜 등 한 곳으로만 투자해야 하는 것이 아니다”고 했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