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부터 '공인인증서→공동인증서'..현재 공인인증서, 연말정산 사용 가능
카카오·패스 2강 구도에도 네이버·토스·페이코 등 경쟁 가열 전망

공인인증서 로그인 화면.

[포쓰저널=김지훈 기자] 복잡한 등록 절차에도 불구하고 독점적 지위로 금융거래를 독식해왔던 공인인증서가 10일 사라지게 된다.

발급절차는 물론, 인증과 재발급이 까다로운 공인인증서의 자리를 민간인증서가 대체할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공인인증서를 폐지하고 전자서명 서비스의 임의인증제도를 도입한 전자서명법 개정안을 10일부터 시행한다.

개정안 시행으로 공인인증서는 ‘공동인증서’로 명칭이 바뀐다.

자료=과기정통부

전자서명 이용 시 액티브엑스(ActiveX)나 실행 파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전자서명 가입자 신원확인도 기존 대면확인만 허용했던 방식에서 비대면 확인(사전 안전성 검증은 필요)도 가능해진다.

가입자 인증도 10자리 이상의 복잡한 비밀번호 대신 생체정보나 PIN(간편비밀번호) 등으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1999년 도입된 공인인증서는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본인인증에 이르기까지 복잡한 발급 절차를 거쳐야 해 불편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시장 독점을 초래하고 전자서명 기술·서비스 발전을 저해한다는 문제점도 제기됐다.

이에 따라 공인인증서는 독점적 지위를 잃고 민간인증서와 동일한 지위를 갖게 된다. 전자상거래나 연말정산에 다양한 민간 전자서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대표적인 민간 전자서명 서비스로는 카카오의 ‘카카오페이 인증’, 이동통신 3사(SK·KT·LGU+)가 운영하는 ‘패스’ 등이 있다.

사진=카카오페이

카카오페이 인증은 2017년 6월 가장 먼저 출시됐다. 출시 3년 만에 이용자 수 1000만명을 돌파했고, 도입기관 수는 100곳을 넘어섰다. 카카오톡으로 간편하게 인증이 가능하고 블록체인 기술 적용으로 보안성이 뛰어나다는 것이 강점이다.

지난해 4월 출시한 패스 인증서는 휴대폰 번호나 핀·생체인증으로 간소화한 절차를 내세워 시장 진출 1년 7개월만에 발급 건수 2000만건을 돌파했다.

패스 앱에서 6자리 핀 번호나 지문 등의 생체 인증을 진행하면 1분 내에 발급이 가능하고 발급받은 인증서는 3년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네이버 인증서’, ‘토스 인증서’, ‘페이코 인증서’ 등과 은행에서 자체 개발한 인증서 등 다양하다.

현재 국내 전자 인증서 시장 규모는 700억원 규모로 아직 크진 않지만, 시장 주도권을 선점을 위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당장 다가오는 연말정산에는 기존 공인인증서를 이용해도 된다. 10일 이후에는 공인인증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발급하는 공동인증서를 이용할 수 있다. 기존 인증서는 유효기간까지 사용할 수 있다.

금융결제원이 개발한 금융인증 서비스도 10일 이후 대부분의 은행에서 발급받을 수 있다.

금융인증 서비스는 고객이 불필요한 프로그램 설치 없이 금융인증서를 금융결제원의 클라우드(가상 저장공간)에 보관해 컴퓨터나 모바일 기기를 통해 언제든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은행이나 인터넷·모바일뱅킹 인증센터 메뉴에서 금융인증서를 발급받아 모바일뱅킹 등에서 사용할 수 있다.

유효기간은 3년이며 자동으로 기한 연장도 가능하다.

개정 전자서명법 시행으로 다양한 민간 전자서명이 활성화될 전망이다.

정부는 이달 말 시범사업자를 선정한 뒤 내년부터 민간인증서를 활용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최근 카카오·KB국민은행·NHN페이코·패스·한국정보인증 등 5개사를 후보로 선정했다.

한국인터넷진흥원 평가단과 행정안전부가 각 업체의 보안 수준 현장 점검, 전자서명 공통 기반 서비스 연계 시험 등을 통해 이달 말 최종 시범사업자를 선정한다.

정부는 전자서명의 신뢰성?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평가?인정 제도를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