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이후 국내외 13건 비충돌 화재 보고
화재 원인 명확히 규명 안돼 불안감 더 키워
국토부 '배터리 분리막' 언급에 LG화학 강력 반발

코나EV./사진=현대자동차

[포쓰저널] "미국에서 이런 식으로 줄사고가 발생했다면 당장 집단소송 간다", "현대차 리콜 한다는데 결국 충전량만 줄여서 눈가리고 아웅하려는 것 아니냐."

9일 현대차 전기차 코나EV 동호회 사이트 등에는 전날 국토교통부와 현대차가 발표한 코나EV 비충돌 화재사건 관련 시정조치(리콜)를 싸고 격앙된 반응이 다수 올라왔다.

코나EV 화재 건이 막 시장 형성기에 접어든 국내 순수 전기차 보급에 중단기적으로 치명타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전기차 핵심 부품인 2차 전지의 안전성을 둘러싼 의구심도 높아지고 있다.

2016년 삼성전자 스마트폰 ‘갤럭시 노트7’ 발화 사건,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33건 발생한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에 이어 전기차용 배터리까지 대형 스캔들에 휩싸인 셈이어서 불신이 쉽게 가라앉지는 않을 전망이다.

코나 EV가 현대차의 대표적인 순수 전기차 모델이라는 점도 전기차에 대한 불신을 키우는 요인이다. 

이미 대중화된 모델이 이 정도면 아직 실험적 단계에 있는 전기차 모델은 아예 '마루타'가 될 작정이 아닌한 구매하기 힘든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코나EV는 국내외 시장에서 2018년 2만2787대, 2019년 4만8457대가 팔렸다. 

올들어선 8월까지 국내 6008대, 해외 2만9620대 등 3만5628대를 판매했다.

코나EV 비충돌 화재 발생 원인에 대해선 아직 명확하게 규명된 것이 없다.

코나EV는 2018년 출시 당시 현대차 울산 1공장 생산라인에서도 5월19일과 8월6일 두차례 비출동 화재사고를 일으킨 것으로 확인됐다. 

시판이 본격화된 이후 국내에선 2019년 7월28일 강원도 강릉시, 8월9일 경기 부천시, 8월13일 세종시, 2020년 4월2일 경기도 안산시, 5월29일 대구 북구, 8월7일 대구시 북구, 8월15일 전북 정읍시, 9월26일 제주시, 10월4일 대구 달성군 등 9건의 화재사고가 보고됐다.

해외의 경우 2019년 7월26일 캐나다 몬트리올 일비자르 주택가 차고에 주차 중이던 코나EV에  폭발과 함께 불이 났고, 2019년 9월17일 오스트리아에서는 주행중에  코나EV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코나EV 고전압 배터리 구성체계./국토교통부

코나EV 장착 배터리 관련 제조사

·배터리셀=LG화학
·배터리팩=HL그린파워
·배터리관리시스템(BMS)=현대케피코
·배터리시스템어셈블리(BSA)=현대차

 

장경태 의원실에 따르면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코나EV 발화지점을 '고전원 배터리'로 추정했다.

국토부도 8일 코나EV 리콜 보도자료에서 화재원인을 '배터리셀 제조불량'으로 지목했다.

국토부는 "차량 충전 완료 후, 고전압 배터리의 배터리 셀 제조 불량으로 인한 내부 합선으로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확인됐다"며 '제조 공정상 품질불량으로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있는 분리막이 손상'돼 화재가 발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나EV의 배터리셀은 LG화학이 제조해 현대차(현대모비스)에 납품하고 있다.

코나EV에 탑재된 배터리에는 LG화학의 배터리셀 ‘NCM622’ 리튬이온폴리머가 파우치 형태로 들어간다. 

NCM622는 10만 대가량 판매된 르노 전기차 조에와 GM의 볼트EV에도 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LG화학은 정확한 화재 원인이 규명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방적으로 발표한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LG화학은 "현대차와 공동으로 실시한 재연 실험에서도 화재로 이어지지 않아 분리막 손상으로 인한 배터리 셀 불량이 원인이라고 할 수 없다"며 "향후 원인 규명을 위한 조사에도 현대차와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조사 결과는 결이 조금 달랐다.

국과수는 코나EV 차량 하부에 설치된 배터리팩 결합품 내부 결함으로 인한 전기적인 원인에 따른 발화로 추정했다.

장경태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과수 감식보고서에 따르면, 국과수는 작년 강릉과 세종시 사례를 분석해 코나EV 주행 중 충격·진동이 배터리팩 내부에 가해져 절연이 원활히 되지 않아 발생한 과전류 스파크를 발화원인으로 지목했다.

국과수는 배터리 제조 과정에서 미세한 결함이 생길 경우 운행 초기에는 문제가 바로 나타나지 않다가 충?방전을 지속할 경우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고 했다.

다만 국과수는 해당 차량이 전소로 인해 훼손이 심해 정확한 조사결과를 밝히는데 한계가 있고 발화원인을 한 가지로 한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보다 정확한 원인은 자동차 안전 전문기관인 한국자동차안전연구원의 검증 결과가 나오면  좀 더 명확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국토부는 지난해 9월 한국자동차안전연구원에 코나EV 차량에 대한 제작결함 조사를 의뢰했지만, 아직 결과는 나오지 않았다.

국토부는 전날 리콜 공지에서 "제작사가 제시한 결함 원인과 리콜 계획의 적정성을 검증해 필요시 보완 조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4일 오전 대구시 달성군 아파트단지 주차장에서 충전 중 발생한 화재로 전소된 코나EV.  /사진=대구소방안전본부 제공

현대차의 리콜, 배터리 교체 등 사후 대처를 둘러싼 논란도 계속될 전망이다.

소비자들은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을 업데이트한 뒤 이상이 있으면 배터리를 교체해주겠다는 현대차의 리콜 방침에 불만을 터트리고 있다.

현대차는 이번 리콜을 통해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을 업데이트 한 후 점검 결과, 과도한 셀간 전압편차, 급격한 온도 변화 등 배터리 이상 징후가 발견되는 경우 배터리를 즉시 교체하고 ▲이상이 없더라도 업데이트된 배터리 관리시스템(BMS)의 상시 모니터링 과정에서 추가 이상 변화가 감지되면 충전중지와 함께 시동이 걸리지 않게 제한하고 ▲동시에 경고 메세지를 소비자 및 긴급출동서비스 콜센터(현대차)에 자동 전달하는 시스템을 장착하기로 했다.

서보신 현대차 생산품질담당 사장은 8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기술상, 제작상 책임을 인정하느냐"는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책임을) 인정한다"며 "완벽하지는 않지만 솔루션은 일부 찾았으며 리콜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소비자들은 이번 리콜이 배터리 전면 교체가 아니라 'BMS 업데이트 후 이상시 배터리 교체'에 그쳤다며 실망감을 나타내고 있다.

일각에서는 현대차가 BMS 업데이트로 전기 충전량을 제한하는 '꼼수'를 부리려는 것이 아니냐는 의구심도 제기한다.

현대차는 3월에도 BMS 업데이트를 한 바 있다.

현대차 측은 "3월 업데이트는 주차 중 모니터링을 하는 로직의 민감도를 강화하는 것이었고 이번에는 충전 중의 진단 등을 추가하는 것"이라며 "충전량 제한과는 전혀 다르며 배터리 문제가 발생하면 충전을 긴급 정지시키는 것으로 보면 된다"고 했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