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위원회, 하비올터·마이클호턴·찰스라이스교수 선정

2020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왼쪽부터)하비 J. 알터 미국 국립 보건기구 연구원, 마이클 허턴 캐나다 알베르타 대학 교수, 찰스 M. 라이스 미국 록펠러 대학 교수./사진=노벨상 위원회 홈페이지

[포쓰저널]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C형 간염 바이러스를 발견한 바이러스 연구학자 3명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 노벨위원회는 5일 간암 등을 유발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발견과 퇴치에 공헌한 하비 J. 알터 미국 국립 보건기구 연구원, 마이클 허턴 캐나다 알베르타 대학 교수, 찰스 M. 라이스 미국 록펠러 대학 교수를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과거 C형 간염은 예방 백신이나 마땅한 치료제도 없는 데다 조기 발견마저 어려워 '침묵의 살인자'로 불리기도 했지만, 이들이 존재조차 알 수 없었던 C형 간염 바이러스를 분리·발견하면서 치료제와 백신 개발이 가능해졌다.

이들의 연구를 기반으로 C형 간염은 약 5년 전부터는 100% 완치에 가까운 신약이 개발되며 30년 만에 완치 단계에 이르렀다.

노벨상 시상식은 해마다 12월 10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다. 올해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탓에 온라인으로 대체된다.

하비 올터 교수는 1975년 수혈과 관련된 바이러스 질환을 처음 보고했다. 이 바이러스가 C형 간염 바이러스다.

마이클 호턴 교수는 1989년 C형 간염 바이러스라는 존재를 처음으로 규명, 혈청검사로 진단이 가능하게 했다. 또 C형 간염 바이러스와 간암과의 연관성을 발견, 질환에 경각심을 갖게 했다. 애초 'A형도, B형도 아닌 간염'(Non-A, Non-B 간염)으로 불릴 정도로 미지의 영역이었던 새로운 간염 바이러스가 규명되자 혈청검사로 진단이 가능해졌다.

찰스 라이스 교수는 C형 간염 바이러스의 내부 단백질 구조를 처음 밝혀냈다. 특히 2005년 C형 간염 바이러스의 실험실 모델을 확립, C형간염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간에 염증을 일으키는 간염 바이러스는 5가지 유형(A, B, C, D, E형)이 밝혀져 있는데, B·C·D형은 급성 및 만성으로 진행돼 간경변과 간암을 일으키기도 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현재 C형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을 70000만명으로 추정한다. 해마다 40만 명이 C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돼 숨지는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인구의 1∼2%가 C형 간염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다. 대부분 증상이 없어서 감염 사실을 모르는 채로 간경변이나 간암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건강검진 등을 통해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여부가 확인된다면 8∼12주 알약을 복용하는 과정을 통해 C형 간염 완치를 기대할 수 있다.

수상자에게는 상금 900만 크로나(약 10억9000만원)가 주어진다.

노벨상 시상식은 알프레드 노벨의 기일인 12월 10일 해마다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렸지만, 올해는 코로나19로 온라인으로 대체된다. 수상자들이 자국에서 상을 받는 장면이 TV로 중계될 예정이다.

나머지 노벨 수상자 발표는 물리학상(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 6일 오후 6시45분 (한국시간), 화학상(스웨덴 왕립 과학아카데미) 7일 오후 6시45분, 문학상(스웨덴 한림원) 8일 오후 8시, 평화상(노르웨이 노벨위원회) 9일 오후 6시, 경제학상(스웨덴 왕립 과학아카데미) 12일 오후6시45분 각각 예정돼있다.

노벨상 메달/사진=노벨상위원회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